2023 부동산 집값 전망 _ KB은행 보고서
- 카테고리 없음
- 2023. 3. 9.
2022년 부동산 시장 리뷰
2022년 주택시장은 연간 주택 매매가격이 2012년 이후 처음으로 하락세를 보였다. 이러한 하락세는 하반기로 갈수록 더 뚜렷해 거래량이 크게 줄었다. 높은 가격과 가격 하락에 대한 우려로 수요가 감소한 반면 판매자의 희망 가격은 여전히 높았습니다. 이에 따라 판매자와 구매자가 원하는 거래가격의 격차가 벌어져 거래가 어려워졌으며, 2022년 금리 인상은 거래 위축을 더욱 심화시켰다고 보입니다.
안정적이던 전세시장도 매매시장이 위축되면서 하락세를 보였다. 전세시장의 가장 큰 특징은 월세 전환이 가속화된 점이다. 특히 단독주택, 빌라 등 비아파트에서 이런 경향이 두드러졌습니다. 주택 시장이 위축되면서 공급 부족에 대한 우려가 대두되었습니다. 앞으로 신규분양물량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정부는 상대적으로 주택수요가 많은 수도권의 공급비중을 높일 계획이다. 다만 정부의 공급 시기는 향후 주택시장 상황에 따라 조정될 가능성이 크다 보입니다..
전반적으로 2022년 주택 시장은 경착륙과 거래량 감소 등 상당한 어려움에 직면했습니다. 정부가 공급 부족 해소와 시장 안정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공급 위축으로 인한 집값 재상승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나옵니다.
I. 2022년 주택시장 진단과 2023년 전망 1. 2022년 주택시장 진단과 2023년 전망 2. 주택시장 연착륙 가능성 점검 3. 주택시장 7대 이슈
II. 주택시장 설문조사 1. 2023년 주택시장 전망 2. 2023년 투자 유망 부동산 진단 3. 고자산가의 투자 성향과 관심 부동산
III. 수도권 주택시장 점검
IV. 상업용 부동산시장 전망
V. 심층분석 리포트 국제비교를 통한 한국 가계부채의 구조적 특징 및 안정성 점검
VI. 부동산 시장 관련 법률 개정 동향
- 부동산 시장 관련 법률 개정 동향 소개
- 주요 부동산 법률 개정 내용
- 부동산 시장 참여자들의 대응 전략
VII. 부동산 시장 혁신과 기술 적용
- 부동산 시장 혁신 동향
- 부동산 기술 적용 사례 소개
- 부동산 시장 혁신과 기술 적용의 한계와 대응 전략
VIII. 부동산 시장의 사회적 책임
- 부동산 시장의 사회적 책임의 중요성
- 부동산 시장의 사회적 책임 수행을 위한 대책
- 부동산 시장 참여자들의 사회적 책임 수행 방안 제안
IX. 부동산 시장의 지속 가능성
- 부동산 시장의 지속 가능성 문제
- 부동산 시장 지속 가능성을 위한 대응 전략
- 부동산 시장 참여자들의 지속 가능성 확보 방안 제안
X. 부동산 시장의 미래 전망
- 부동산 시장의 미래 전망
- 부동산 시장의 미래를 위한 전략 수립
- 부동산 시장 참여자들의 미래 전망 관련 제언 제안
소스 : https://kbfg.com/kbresearch/report/reportView.do?reportId=2000381
KB경영연구소
kbfg.com